산의 개요
황악산은 충북 영동군 매곡면 어촌리와 상촌면 궁촌리와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추풍령에서 민주지산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산줄기의 시작점이다.
높은 산임에도 석산(돌산)이 아니라 토산(흙산)이어서 흙의 의미를 담은 황을 써서 황악산이라고 하였다.
과거에 학이 많이 살아서 황학산이라고도 한다.
황악산은 주봉인 비로봉과 함께 백운봉. 신선봉. 운수봉이 있으며 천룡대로부터 펼쳐지는 황악산의 대표적인 계곡이다.
추풍령과 괘방령을 지나 다시 웅장한 백두대간의 산세를 보이는 곳이며 신라 눌지왕 2년(418년)에 창건한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가 있다.
산행 코스
괘방령-여시골산-운수봉- 안부(직지사갈림길)-황악산(비로봉)-형제봉-바람재(백두대간갈림길) -신선봉-망월봉-직지사
산행일자및 날씨
2022년 12월 24일 맑은가운데 올겨울 최고의 한파
산행 지도
▲최근에 내린 폭설로 대부분의 국립공원이 출입을 통제하여 대안으로 경북 김천의 황악산을 찾아 괘방령에서 시작하여 여시골산. 운수봉.
백운봉.황악산을 오른 후 형제봉.신선봉.망봉을 거쳐 직지사로 하산하는 코스이다...
▲황악산은 높은 산임에도 석산(돌산)이 아니라 토산(흙산)이어서 흙의 의미를 담은 황을 써서 황악산이라고 하였다.
또한 과거에 학이 많이 살아서 황학산이라는 설도 있다...
▲충북 영동군 매곡면과 경북 김천시 대항면을 이어주는 고개로 백두대간의 황악산고개를 넘어 추풍령으로 가는 길에 위치한 산장으로
자세한 내용은 없다...
▲괘방령을 사이에 두고 황악산 반대편은 가성산.눌의산으로 이어진다...
▲충북 영동군 매곡면과 경북 김천시 대항면을 이어주는 고개 괘방령에서 황악산들머리에 큼지막한 괘방령표지석이 반겨준다...
▲셀카인증샷을 담을려니 정면도 아니고 대각선도 아닌것이 삼각대를 세울 장소가 옆면밖에 없어 요렇게 찍을수밖에 없었다...
▲조망은 없고 앞만보고 오르니 어느듯 여시골산이다...
▲여시굴(여우굴)이 있다는 표지판이다.
▲여시굴표지판 뒤쪽에 자그마한 굴이 있는데 여시굴(여우굴)이다.
예로부터 여우가 많이 출몰하여 여시골짜기가 알려졌으며 그로인해 여시골산이라 불려졌다고 한다...
▲현위치 운수봉이다.
지도상에는 이곳에서 직지사로 내려서는 길이 나와 있는데 이정표에는 표시가 없다...
▲운수봉은 충북 영동군 매곡면과 경북 김천시 대항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국토정보지리원에는 천덕산으로 표기되어 있다고 한다...
▲운수봉(740m)은 김천의 대표적인 명산인 황악산을 이루는 비로봉(1,111m), 신선봉(944m), 백운봉(770m) 등 고봉 중 하나로서
백두대간의 한 줄기로 운수봉은 언제나 구름이 머물고 골짜기에 물이 흐르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한 행정구역인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와도 관련이 되어 있다고 한다...
▲백운봉과 운수봉사이 사거리 안부로 직지사로 내려설수가 있는 곳이다...
▲주등산로에서 살짝 비켜 선 백운봉(770m)이다...
▲황악산을 이루는 비로봉(1,111m), 신성봉(944m)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지만 조망은 전혀없다...
▲
▲황악산 비로봉 아래 선유봉(1,045m)이다...
▲괘방령에서 오르는 구간에서 처음으로 조망이 열리는 포인트가 선유봉으로 바라보이는 김천시 방향이다...
▲선유봉에서 바라본 구름띠를 두르고 있는 저곳이 구미 금호산쪽일까? 잘 모르겠다...
▲황악산 정상 바로 아래 이곳 바위지대도 선유봉과 같은 방향의 조망이 펼쳐지는 조망포인트다...
▲그나마 정상부근에는 상고대가 있어 겨울산행을 실감케 한다...
▲현위치 황악산 비로봉(1,111m)으로 백두대간해설판과 돌무덤과 함께 정상석이 자리하고 있다...
▲반대방향에서 담은 황악산 정상의 모습이다...
▲황악산은 산세는 그리 수려하지 않지만 비교적 완만한 육산으로 산아래 직지사를 품고 있어 봄.가을로 찾지만 사계절 두루 인기 있다...
▲국립공원처럼 멋진 주목같은 나무는 아니지만 그래도 겨울산의 자태를 뽐낸다...
◈◈◈...
▣▣▣...
◐◐◐...
◑◑◑...
☎☎☎...
▩▩▩...
▲현위치 형제봉(1,046m)이다...
▲형제봉 또한 그다지 조망은 없는 곳으로 인증샷만 담고 바람재 방향으로 내려선다.
이곳 형제봉에서 핸드폰 충전을 위해 USB 잭을 연결하는 순간 USB에 눈으로 인해 물이 유입되어 충전을 하지못해
신선봉과 바람재의 백두대간 갈림길과 신선봉, 망봉까지 이어지는 사진이 없다...
▲오늘 산행의 날머리 지점에 위치한 직지사 부도탑이다...
▲직지사 경내를 흐르는 계곡물도 동장군이다...
▲화엄일성법계도다.
화엄일성법계도는 의상대사께서 법성게를 짓고 이르 다시 54각의 도장 문양으로 만든 것이다.
깨달음의 경지에서 삼라만상의 진실한 모습이 도장을 찍듯 한순간에 몰록 나타냄을 상징한다.
이는 곳 화음경의 해인삼매를 뜻하기에 '해인도' 라고도 한다.
언뜻 보면 미로처럼 복잡하지만 시작과 끝이 이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화엄경 요체가 '행행본처 지지발처' 임을 상징하니 가도가도 본래 자리요 이러고 이러러 출발한 그 자리라는 뜻이다.
직지사는 '직지인심 견성성불' 의 도량으로 법계도의 법성을 가리키는 것이다...
▲직지사 대웅전이다.
신라시대 대웅전의 규모에 대해서는 미상이나 고려 이후 조선 초기,적어도 정종대까지는 2층 5간의 특수한 건물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대웅전은 임진왜란때 소실되었으나 선조 35년(1602) 사승 인수,명례 등에 의하여 중창되었다.
현 건물은 이로부터 150여 년 후인 영조 11년(1735) 중건되었으며
직지사 대웅전은 경북유형문화재 제 215호였는데, 2008년 9월 3일 보물 제1576호로 지정되었다.
산행종료 후 직지사를 대략 둘러보는 것으로 오늘 하루의 일정을 마무리 한다...
망원동 꽃집 '프릴 플라워' - 마우스 클릭 부탁드려요...
Prill flower studio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Prill flower studio : 네이버 블로그
망원동꽃집 합정꽃집, 프릴플라워
m.blog.naver.com
'<<산행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영남알프스 9봉인증 : 문복산(1,015m)과 고헌산(1,034m)... (2) | 2023.01.06 |
---|---|
(46)경주 구미산(594m)... (0) | 2022.12.30 |
(44)대전 계족산(423.6m)... (3) | 2022.12.17 |
(43)함안 봉화산(674m).서북산(738.5m)... (0) | 2022.12.10 |
(2022년)영남알프스 9봉 완등 메달... (1) | 202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