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의 개요
예봉산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에서 팔당호를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팔당유원지를 사이에 두고
하남시의 검단산과 마주하고 있는 산으로 산에 오르지 않은면 볼수없는 멋진 삼한강(남한강,북한강,한강)을 조망할수 있는 산이다.
운길산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되는 양수리 북서쪽에 위치한 산으로 주변에 정다산마을, 팔당호,서울종합영화촬영소,
금남유원지 등의 관광지가 있고 산중턱에 수종사(水鐘寺)가 있어 볼거리도 많은 편이다. 특히 수종사에서 바라보는 팔당호의 모습은
일찍이 서거정이 동방의 사찰 중 전망이 제일이라고 격찬했을 정도이다.
예봉산이나 운길산은 도시철도 팔당역이나 운길산역에서 산행을 시작하고 종료할수 있어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수 있는 산이다.
산행 코스
운길산역-굴다리-대회정-수종사-쉼터-운길산-새재고개-적갑산-활공장-철문봉-예봉산-전망대-팔당유원지-팔당역
산행일자및 날씨
2019년 07월 05일 금요일 맑고 바람없는 무더운날씨
산행 지도
▲오늘 산행은 경기도 용인의 모부대에 근무중인 아들의 면회(토요일)를 가기에 앞서 하루전날 남양주시에 위치한
운길산과 적갑산 그리고 예봉산을 타는 산행이다...
▲오늘 산행의 의미는 산 자체보다 북한강과 남한강 그리고 이들이 만나는 두물머리와 이들이 모여 팔당댐을 이룬 후
한강으로 흘러가는 모습을 산위에서 내려다보는 것이다...
▲예봉산 정상에는 강우기상관측소가 설치되면서 예봉산정상석도 새롭게 세워진 모습이다...
▲남양주 수종사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운길산이다...
▲마차고개에서 시작하여 팔당댐으로 이어지는 천마지맥누리길에 위치한 적갑산으로 예봉산과 연계한 산행의 봉우리다...
▲운길산역은 오늘 산행의 들머리로 산행종료 후 애마를 픽업하기 수월한 운길산역에서 산행에 시작한다...
▲운길산역 위쪽에 위치한 진중교회로 교회앞쪽 굴다리를 지나야한다...
▲ 진중교회 앞쪽 굴다리(코레일과 도시철도)를 지난다...
▲다리(진중교)를 지나 좌측으로 진행한다...
▲산행은 곧장 운길산 정상으로 올라도 되지만 소종사(사찰)를 둘러보고 오르길 권한다...
▲수종사로 이어지는 포장임도 우측으로 데크계단을 따라 오르면 된다...
아래의 정자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다...
▲이 정자의 이름은 특이한 '2011세계유기농대회정' 이다.
의미는 환경보전과 안전한 농산물 생산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아시아 최초로 2011년 제17차 세계유기농대회(IFOAM OWC)를
남양주시 조안면 일원에서 개최됨을 기념하기 위해 이곳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마을 사람들이 이곳에서 나름 마을의 안녕을 위한 산제사를 올리는 모양이다...
▲약 4시간을 운전하고 바람없는 무더운 날씨에 산행을 하다보니 평소보다 힘들게 느껴진다...
▲수종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의 말사이며 운길산 8부 능선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 초기에 중창한 사찰로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수되는 두물머리를 내려다보고 있다...
▲수종사일주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부도탑이 자리하고 있다...
▲수종사 산신각에 올라 내려다 본 모습으로 수종사와 함께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가 멋지게 내려다보인다...
▲수종사뜰에서 바라본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의 모습이다...
▲수종사뜰에서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를 당겨서 담은 모습이다...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五層石塔)은 고려 시대 팔각 석탑의 전통을 이어 조선 시대에 건립된 석탑으로
2013년 보물 1808호로 지정되었으며 그 옆에 있는 부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는 태종의 다섯 번째 딸 정의 옹주의 부도다...
▲세조께서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높이 35m, 가슴높이 둘레 6.5m에 이르는 만큼 수많은 가지가 두 팔을 벌리고 북한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수령 500년의 은행나무 두 그루가 아름답기 그지없다...
▲수종사를 뒤로하고 가파르게 오르니 쉬어가라며 널직한 평상쉼터가 반겨준다...
▲운길산 정상에는 데크쉼터와 함께 첨단 ‘강우 레이더 관측소’ 가 위치한 예봉산이 바라보인다...
▲운길산 정상에서 바라본 6.0km의 거리에 위치한 예봉산의 모습이다...
▲이곳이 실질적인 새재고개는 아니지만 지도상의 새재고개인 셈이다...
▲현위치 67번에서 내려다 본 미사대교와 남양주시,구리시 일원의 모습이다...
▲적갑산은 주변이 나무로 가려있어 조망은 전혀없다...
▲활공장이다...
▲활공장 부근에서 바라본 운길산에서 새재고개로 이어지는 마루금이다...
▲한강홍수통제소가 남양주시 예봉산에 첨단 ‘강우 레이더 관측소’ 설치하였다
이 첨단장비는 반경 100km 이내의 강우를 집중적으로 관측하고 3시간 전에 국지성 집중호우의 가능성을 감지할 수 있는 장비로
현재 ‘강우 레이더 관측소’가 설치된 곳은 대구 비슬산 한 곳 뿐이다...
▲활공장에서 담은 롯데월드타워의 모습이다...
▲이곳 철문봉은 정약용,정약전,정약종 형제가 본가인 여유당(남양주 조안면 능내리 마재)에서 집뒤 능선을 따라 이곳까지 와서
학문(文)의 도를 밝혔다(哲) 하여 철문봉이라 한다...
▲강우 레이더 관측소와 함께 새롭게 세운 예봉산정상석이다...
▲예봉산정상에서 바라본 두물머리의 모습이다...
▲팔당2리로 내려서는 전망데크에서 바라본 팔당대교와 검단산과 하남시의 모습이다...
▲팔당2리로 내려서 산행을 마무리하고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시원한 물냉면을 한그릇 비우고 팔당역으로 향한다...
▲팔당과 예봉산의 중심 팔당2리 표지석으로 누구나 쉽게 예봉산들머리를 찾을수 있는 표지석이다...
▲팔당역에서 도시철도를 타고 운길산역으로 가서 애마를 픽업하여 경기도 광주시 장지동에 살고 계시는 형님집으로 간다...
'<<산행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양산 천성산(922m) 번개산행... (0) | 2019.07.23 |
---|---|
(29)영월 김삿갓유적지의 곰봉(930m)... (0) | 2019.07.14 |
(27)창녕의 구룡산(741m)... (0) | 2019.06.23 |
(26)창원 저도의 용두산(202.3km) (0) | 2019.06.16 |
(25)경남 의령의 남산(320.8m)... (0) | 2019.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