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 사진>>

하늘기둥 천주산(836m),공덕산(913m)...

반응형

산의 개요

천주산(836m)은 하늘기둥이라는 그 이름처럼 경천호반 가에 우뚝 솟아 기둥처럼 보이는 산으로

 또 멀리서 보면 큰 붕어가 입을 벌리고 하늘을 쳐다보고 있는 듯하다 해서 붕어산이라고도 불린다.

그 높이가 836m지만 사방으로 벼랑을 이룬 곳이 많아 산을 오르는 이들의 오금을 저리게 만드니 그 높이보다 훨씬 더 높은 산으로 보인다.

정상에는 큰봉과 작은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불감시초소와 정상 표지석이 있다.  
큰봉 정상에 서면 운달산, 대미산, 문수봉, 황장산이 한눈에 보여 백두 대간의 웅장함을 실감할 수 있다.
공덕산(功德山·912.9m)은 산 기슭에 자리한 천강석조사불상(天降石造四佛像·일명 사불암)과 관련지어 사불산(四佛山)으로 부르며

대승사 일주문 현판에 "사불산 대승사" 로 쓰여 있다.  

공덕산(913m)은 대승사 사불암 외에 나옹화상이 거처했다는 묘적암과 안장바위, 탑돌이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윤필암,

그리고 묘봉의 부부바위, 사불암 아래 유무유바위, 윤필암 아래 나도야바위 등 볼거리가 많은 산이다.
산행 코스

59번국도 천주암입구-천주암-제1,2슬랩구간-천주봉-서낭당재-공덕산-옛고개-묘봉-부부바위-안장바위-묘적암-

윤필암-대승사 안내판(주차장)

산행 일자및 날씨

2011년 12월 07일 수요일 약간 흐리고 가스가 찬 날씨

산행 지도

오늘 산행은 59번 국도의 천주산 천주사의 표지석이 있는곳이 산행들머리로 천주사,천주산,공덕산을 거쳐

묘봉을 지나 묘적암,윤필암을 지나 윤필암 주차장이 산행날머리이다...

▲천주산은 경천호반가에 우뚝솟은 기둥처럼 보인다하여 하늘기둥이라고도 부르며

큰 붕어가 입을 벌리고 하늘을 쳐다보고 있는 듯하다 해서 붕어산이라고도 불린다...

▲59번 국도에서 천주사가는 입구로 간송리 천주마을이다...

▲천주사가는길의 입구에서 몇발짝 걷다보면 빛바랜 천주산 등산안내 표지판이 나온다...

▲천주사가는길의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걸으면서 올려다 본 하늘지붕 천주산이다...

▲천주사 입구의 바위 위에 묘셔져 있는 불상이다...

▲천주사의 경내에 있는 탑으로 장독대에 둘러 쌓여 있는 모습이다...

▲천주사 뒤편의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로 화장실 앞쪽에서 시작되는 등산로가 있지만

이곳 마애불을 둘러보고 오르는 등산로가 있기에 이곳을 둘러보고 가기를 권한다...

▲마애불을 지나 얼마를 오르다보면 돌들이 많은곳에 여러개의 돌탑을 지나게 된다...

천주산을 오르면서 멀리 보이는 한반도를 닮은 경천호를 당겨보지만 가스가 심한탓에 선명하게 볼수가 없다...

▲로프가 설치된 슬랩지대를 지나고 있는 옆지기의 모습으로 천주산은 스틱을 사용하지 않는것이 편할수도 있다...

▲천주산 정상 직전으로 위험구간에 안전을 위하여 철재펜스가 설치되어 있다...

천주산 정상은 장소가 협소하고 바위로 되어있어 안전에 각별히 신경을 쓰야한다...

약 5년전 여름에 이곳 천주산을 다녀갔었는데 그때는 공덕산을 가보지 못했기에 다시한번 이곳을 찾게 되었다...

천주산 정상에서 바라본 공덕산의 모습으로 정상부근이 눈으로 덮혀있는 모습이다...

천주산과 공덕산을 이어주는 서낭당재로 천주산 정상에서 가파르게 내려와 이곳에서 점심을 해결하고는

공덕산 정상을 향해 가파르게 올라야 한다...

이곳은 공덕산과 옛고개의 갈림길로 눈이 제법 많이 쌓여있어 옆지기가 좋아라한다...

이 표지판이 있는곳에서 좌측으로 낭 등산로를 따라 공덕산에 들렀다가 턴하여 이곳에서 옛고개로 향한다...

올 겨울들어 처음으로 쌓여있는 눈을 보고는 사진을 찍어 달라고 조른다...

공덕산 정상은 표지석만 있을뿐 주위의 조망이나 그밖에 볼것이라고는 아무것도 없다...

공덕산 정상에서 직진하게 되면 방광재로 내려서게 된다...

공덕산을 다녀간 흔적을 남기고 이내 옛고개를 향해 발걸음을 제촉한다...

옛고개로 내려서면서 얼마전에 내린 눈이 나무가지에 쌓여있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본다...

짧은 거리지만 오랜만에 밟아보는 눈에 기분은 좋다...

이정표가 세워져 있는 이곳이 옛고개로 무심코 지나치면 이곳이 옛고개인지 알수를 없고

이 이정표의 기둥을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희미하게 옛고개란 글이 씌여져 있다...

이곳은 815봉으로 표시는 없고 지도를 보고는 좌측으로 난 등산로를 따라 묘봉쪽으로 향한다...

굴참나무에 사불암의 표지판이 걸려있는 이곳이 사불암갈림길로 사불암으로 가지않고 우측 등산로를 따라

묘봉으로 향한다...

그나마 조망이 좋은곳에서 지나온 공덕산을 배경으로 잡은 모습이다...

사불암을 들러지는 못하지만 카메라의 줌을 당겨 그 모습을 담아본다...

이곳이 묘봉으으로 전망이 좋은곳에서 포즈를 취해보지만 날씨가 받쳐주질 않아 조망이 엉망이다...

 

어떤 연유에서 지어졌는지는 알수가 없고 이곳이 부부바위라는 곳이다...

주변에 다른 일행이 있었으면 옆지기와 함께 했을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가지많은 소나무를 배경삼아 포즈를 취해 보건만 역광으로 인해 영 아니다...

고사목이 아름다운 자태를 맘껏 뽐낸다...

바위와 어우러진 고사목이 아름다운 자태를 맘껏 뽐낸다...

말의 안장처럼 생겼다하여 말안장 바위이다...

말 장바위에 걸터앉아 찍을수도 있는데 바위전체를 담을려니 영 아닌것 같아 그냥 스탠딩 자세다...

마당바위를 오르고 있는 모습을 옆지기가 뒤에서 잡은 장면이다...

마당바위에 올라 멀리 바라보면서 조망하는 중이다...

마당바위에 올라 멀리 바라보면서 조망하는 중이다...

노송으로 둘러 쌓여있는 묘적암으로 나옹화상이 득도한 암자라고 전한다...

묘적암을 둘러 쌓고있는 노송의 모습이다...

묘적암에서 올려다 본 묘봉의 모습이다...

묘적암 주변의 전나무숲은 옛날 중국을 다녀온 나옹선사가 기념으로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대승사 아마여래좌상으로 묘적암과 윤필암의 중간 길가의 암벽에 조각되어 있으며

불상의 전체 높이는 6m,어깨폭 2.2m로서 조각 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대승사 아마여래좌상 입구의 나무에 죽은채로 매달려 있는것을 옆지기가 거둬서 땅에 묻어 주었다...

이곳은 윤필암으로 비구니 스님들의 수도처로 고려 우왕6년(1380년)에 각관비구가 초창한 비구선원으로 유명하다...

오늘 산행의 날머리인 윤필암과 대승사의 갈림길 주차장으로 약5시간에 걸쳐 산행을 마무리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