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 글들>>

세계최대의 인공저수지- 싼샤(三峽,삼협)댐

728x90
반응형

세계최대의 인공저수지
싼샤(三峽,삼협)댐

세계에서 가장 크고 넓고 높은 인공 저수지인 중국 양쯔강(양자강) 싼샤(三峽)댐
싼샤댐은 우선 규모가 모든 인공 시설물을 압도한다
가로 길이만 2300m에 이르고 높이는 185m에 이른다. 여기에 가둘 수 있는 물은 모두 393억t에 이른다


환경 전문가들은 수력 발전 말고는 실효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며,
그나마 수력 발전 조차도 얻는 전력에 비해 치러야 할 대가가 너무 비싼 것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가장 심각한 문제는 수질 오염이다
2003년부터 부분적으로 발전을 시작한 싼샤댐의 수질은 이미 심각하게 악화된 상태다.
어종은 크게 줄고 있고 댐 안에 고인 물은 썩어 들어가 하류로 썩은 물때를 흘려보내고 있다.


또 싼샤댐으로 인해 양쯔강의 물흐름이 느려져 자정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진 것도 수질 오염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런 [썩은 물] 방류 문제는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심각해질 것이다
양쯔강의 하류는 황해 남부와 동중국해로 통하므로 이 지역 해수 오염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도 싼샤댐의 건설로 이 지역의 생태계와 문화 환경은 심각한 파괴를 당했다

싼샤댐이 앞으로 몰고올 생태 환경 재앙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이미 싼샤댐이 양쯔강의 흐름을 가로막은 영향으로
양쯔강 중하류인 후난 화룽현에서는 600m 길이의 제방이 무너질 위험에 처하는 등 적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싼샤댐에 고였다가 흘러내려오는 물이 더 많은 모래를 운반함에 따라

하상과 물흐름이 달라지면서 생겨나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
가능성이 높지는 않지만 싼샤댐 자체의 안전성 문제에 대해서도 회의의 시각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소리> 인터넷 중문판 19일자 보도에 따르면 2003년 이미 싼샤댐 제방에서 80여곳의 균열을 발견한 바 있다고 한다
보도는 댐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상상할 수 없는 재앙이 벌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싼샤댐은 흔히 중국에서[리펑공정]이라 불린다
1990년대 초반 당시 총리이던 리펑이 주도해서 추진했기 때문이다
그  자신이 수리 전문가이기도 한 리펑은 1992년 전국인민대표대회 7기 5차 전체회의에 싼샤댐 건설과 관련한 안건을 제출했다
이에 대해 찬반 투표를 부친 결과 찬성표는 1767표, 반대 177표, 기권 664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표가 전체 투표자수의 67%에 지나지 않았다
이건 중국 전인대에서 통과된 안건치고는 찬성률이 이례적으로 매우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이 거대한 건설계획을 처음 추진할 때부터 찬반 논란이 격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중국 지진 대 재앙이 이 댐에 의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미 월간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이 중국 쓰촨성(사천성) 대지진 발생보다 40여 일 앞선
지난 3월 세계 최대 규모인 싼샤(三峽)댐이 지진 등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고 ‘예언’한 사실이 밝혀졌다

[2006년 싼샤댐에 물을 채우기 시작한 이래 7개월 동안 822차례에 달하는 크고 작은 진동이 감지됐다]며
[댐이 완공되는 2009년에는 지진 위험이 더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일부 지구물리학자들은 댐 자체의 무게는 물론 댐에 저장된 물의 하중이
지구 자전 속도와 지구 자전축의 경사, 중력장 모양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728x90
반응형